점화코일 교환시점은? 작동상태는? 점화코일 진단기록
점화코일 작동이 잘 되고 있는지, 교환 시점이 되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부조나 실화가 있을때 그 원인이 점화코일 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점화코일 파형 분석을 통한 진단 기록이다. 점화코일의 경우 차량에 다라서 교환 시기가 다르고, 일부 차량은 예방차원 에서 무조건 교환 하는 것이 더 좋은 경우가 있다. 점화 코일은 승압 기능이 있어 고 전압이 생성되는데, 이 고압이 ECM 등 엔진 컴퓨터로 흘러 들어가면 ECM 고장으로 이어 질 수 있다.

점화코일 파형 분석을 통한 진단기록이다. 측정한 점화코일은 상태가 좋다. 시간대를 길게하여 살펴본다. 일정하게 점화코일이 작동되고 있다.

점화코일 파형을 시간을 좀 줄여서 살펴본다. 점화코일 상태가 매우 좋게 판단되는 파형이다. 사용되는 전류, 피크전류, 인젝터 핀틀 움직임 등 여러면에서 점화코일 상태를 진단한다. 점화코일 교체 시점은 차량별로 상태별로 다르다.

이제 좀 더 자세히 점화코일 파형을 살펴본다. 이제는 제법 각 점화코일의 작동 상태를 잘 알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이 단계의 점화코일 파형에서는 작동시점의 맥동, 그리고 인젝터 핀틀 움직임등이 파악되는 형태이다. 측정하는 점화코일은 모두 다 상태가 좋다.

점화코일 작동이 시작되는 시점의 부분을 확대하여 파형을 분석한다. 점화코일은 1차 및 2차로 승압을 한다. 배터리 12V정도에서 약 300V정도로 1차 승압하고 2차로 다시 약 15,000V ~ 20,000V정도로 승압하여 점화 플러그에 플라즈마 상태로 에너지를 전달 해 준다. 그래서 점화가 일어 나는것이다.




(1)로그인후 댓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