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비하락 원인분석을 위한 점화1차파형 비교분석파형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1.3L 사례)
8세대 2008년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1.3L 일본내수 JDM 차량이다. 4기통 1.3L인데 1실린더당 2개의 점화코일 과 점화 플러그가 있다. 점화코일 1차파형을 측정하는 이유는 연비하락 원인 분석을 위한 과정이다. 4개 점화1차 파형은 크게 이상한점이 발견되지 않는다. 점화1차 파형은 점화2차 파형과 거울처럼 반영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는 점화1차 파형분석으로 실화, 공연비 농후, 희박, 인젝터 상태등 분석이 가능하다. 시빅 하이브리드 1.3L 점화1차 파형 분석결과 특이점은 없다.

연비하락 원인분석을 위한 점화1차파형 비교분석파형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1.3L 사례)이다. 초록색은 1번 실린더 기준점이다. 1번 점화싸이클 (720도) 시간은 약 133.22ms 정도 900Hz 로 측정된다. 아이들 상태이다. 일반적인 엔진의 경우 점화싸이클은 약 150ms 정도이다.

연비하락 원인분석을 위한 점화1차파형 비교분석파형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1.3L 사례)이다. 좀 더 확대하여 살펴본다. 점화 순서는 1 3 4 2 번 이다. 초록색은 1번 실린더 기준점이다. 1번 점화싸이클 (720도) 시간은 약 133.22ms 정도 900Hz 로 측정된다. 아이들 상태이다. 일반적인 엔진의 경우 점화싸이클은 약 150ms 정도이다.

연비하락 원인분석을 위한 점화1차파형 비교분석파형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1.3L 사례)이다. 상당히 줌 인 해서 점화코일 Dwell Time을 살펴본다. 일반적인 내연기관 엔진의 경우 약 3.0ms 전 후 인경우다 대부분이다. 하지만 시빅 하이브리드 점화코일 드웰타임은 약 1.32ms 정도 757.48Hz 정도이다. 상당히 짦은 편인데 아마도 이 점화코일이 1 실린더당 2개가 있어, 2개 점화코일 Dwell Time을 더하면 약 2.60ms ~ 3.00ms 정도가 될 것으로 분석해본다.

연비하락 원인분석을 위한 점화1차파형 비교분석파형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1.3L 사례)이다. 점화1차 파형 측정 환경이다. 초록색은 1번 실린더 기준점이다. 그리고 1~4번 실린더 점화코일 파워 배선에 탐침봉을 각 각 연결하여 Voltage를 측정하였다.
(1)コメントのためにログ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