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진단 중 피스톤 링 손상 및 크랭크 케이스 쪽 누설 여부 진단방법
분해하지 않고 상당부분 엔진진단이 가능하다. 결국 내연기관 엔진은 하나의 공기펌프 이다. 에어필터 - 쓰로틀바디 - 흡기밸브 - 실린더 연소실 - 피스톤 링 - 블로이바이 가스 - 배기관 - 촉매 등 - 머플러 의 공기체적의 변화이다. 차량별 공기조절 (밸브 오버랩) 방법은 다르지만 큰 맥락에서는 그렇다. 따라서 공기체적의 변화를 잘 추적하면 어디로 공기가 새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 방법중 하나가 바로 피스톤 링 과 실린더 벽 을 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크랭크케이스 블로우바이 가스 이다. 이경우 사실상 보링을 하거나 엔진교체 를 하는경우가 매우 흔하다. 측정은 크랭킹, 아이들, 급가속 단계별로 하도록 한다.
엔진진단 중 피스톤 링 손상 및 크랭크 케이스 쪽 누설 여부 진단 차량은 혼다 어코드 2013년 2.4L 약 15만키로 주행했다. 초록색 선이 #1번 실린더 점화 트리거링 (싱크용) 이고 노란색 Sine Wave가 엔진오일 딥 스틱의 공기체적. 압력 변화에 반응을 보이는 피에조 펄스 센서 파형이다. '압축 - 팽창 - 배기 - 흡기' 과정중에서 특히 압축 단계를 각 실린더 별로 분석한다. 이 차량은 피스톤 링 상태가 정상으로 진단한다.



(1)コメントのためにログ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