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d]
캔통신 데이터 고장때문에 OBD2서는 CAN 통신에 직접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BMW F10 2011년 528i DLC 포트 회로도 이다. 일반적인 #6 번과 #14번 CAN통신 포트는 ZGM 이라는 게이트웨이로 연결되어 있다. #9번만 직접 엔진컴퓨터 DME/DDE로 연결되고 #4 #5번은 접지로 연결되어 있다. 즉, 차량의 모듈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않고 ZGM을 통해서 연결되는 구조이다. Drawing: BMW USA
데이터통신에 의한 차량제어 방식
최근 차량은 대부분 데이터통신으로 차량내 모듈을 제어한다. 예) 썬루프, 사이트미러, 의자, 미션, 엔진 등 대부분의 기능제어에 데이터통신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보안과 자동차안전사고
자동차의 DLC라는 코넥터에 연결되는 진단기가 직접 미션이나 브레이크 등 각종 모듈에 직접 연결되면 보안이슈가 생길 수 있다. 왜냐면 데이터 통신에 의한 S/W 차량제어 이기때문이다. 그래서 보안이슈가 발생하고 차량내 모듈의 보안 강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종의 경비실 역할 Gateway(GW)
차량 제조사별로 이름은 다르지만 보통은 'Gateway' 라고 한다. BMW F10 528i경우 Gateway를 ZGM 이라고 한다. 물론 차량별로 Gateway는 여러개가 있을 수 있다. 차량내 모듈접속이 먼저 경비실 ZGM 에 들리게 되고, 여기에서 각 각 필요한 곳으로 연결해 주는 구조이다. 고속통신 (Flexray, MOST등) 과 저속통신 (LIN BUS등)간 데이터 중개 역할 & 보안역할 이 Gateway 의 2가지 주요 역할이다.
정비사 캔통신 진단시 참고사항
특히 최근차량은 대부분 Gateway 를 거치게 되어 있다. 무엇보다 먼저 회로도를 참고하여 구조를 파악하는것이 중요한 이유이다. 이럴때는 DLC에 #6번 #14번 캔통신에 접속해도 실제 캔통신 파형이 아니다. Gateway까지 연결되는 일반 진단기용 K-LINE 통신등 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캔통신 회로참고후 직접파형측정
캔통신 회로도를 분석후에 진단하고자 하는 모듈의 통신프로토콜 과 위치를 파악후에 해당 모듈에서 직접 캔통신 파형을 측정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 진짜 해당 캔통신 파형이 되는것이다.
중요한것은 회로도 분석부터
각 차량별 연도별 트림별 다를 수 있는것이 회로도 이다. 그러니 진단 차량의 회로도를 가장 먼저 체크후에 적절한 진단. 정비를 하는것이 좋다.
Issue environments & Tags
Notes & References
1. https://bekomcar.com/ko/photo/vgh2pv4ms/
2. https://bekomcar.com/ko/photo/ry294df5j/
3. https://bekomcar.com/ko/photo/7tfprqs6y/
4. https://bekomcar.com/ko/photo/mrfpm2xzn/
5. https://bekomcar.com/ko/photo/mrfpm2xzn/
(1)Login fo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