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 부조 출력이상시 필수진단 항목, 공기량센서 MAF
MAF센서는 엔진으로 들어오는 공기질량을 측정하는 사실상의 모듈이다. 아날로그 와 디지털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번 사례는 혼다, 토요타, 렉서스등 의 최근 차량에 사용되는 디지털방식의 공기유량센서 이다. 모든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차량 출력의 출발점이 바로 공기이다. 부조, 출력이상, 공연비이상 (희박, 농후등) 등 모든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이 바로 MAF공기유량 센서이다. 고장코드 없어도 고장인경우가 있고, 멀쩡하다 이상하기도 하고 진단이 상당히 힘든 경우가 많다. 베콤카에서 MAF센서 진단과정을 기록으로 남긴다.

진단사례는 혼다 CRV이다. 공연비 부조 출력이상시 필수진단 항목, 공기량센서 MAF 진단과정이다. 이번 진단하는 MAF센서는 디지털MAF센서이다. 진단기 데이터값, 오실로스코프 파형, 디지털주파수등 종합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이다.

진단 차량은 혼다 SUV CRV 이다. 우선 진단기에서 MAF센서값을 확인한다. 1초당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질량을 측정하고, 그래프 형태로 특이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번 사례는 MAF 값이 1.3g/s ~ 4.8g/s 까지 상당한 변동폭을 보여주고 있다. 아이들 상태에서는 좋지않는 파형이다.

이번에는 MAF센서를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파형을 측정해본다. 디지털 공기질량센서 MAF이기에 시그널선에서 나오는 파형은 네모난 디지털 파형이다. 주파수 와 최소 & 최대 전압 그리고 비정상적인 파형부분을 진단하는 과정이다. 차량은 혼다 CRV 이다. 파형에서는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는다. 안정적인 주파수와 전압폭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에는 상세히 MAF 파형을 분석한다. 그리고 진단기에서 보여주는 측정값과 비교해본다. 이 자료는 타차량의 정상적인 MAF센서값과, 진단중인 혼다 CRV 차량의 MAF센서 파형을 비교분석하는 과정이다. 주파수에서 일부 차이점이 발견된다.

마지막으로 모든 전장장치는 전부 다 전기공급에 의존하고 있기때문에 차량내 안정적인 전기공급 상태를 스코프를 이용하여 진단한다. 일반적인 경우에 비교하여 전압공급에 노이즈가 많이 측정되고 있다. 참고자료로 기록해둔다. 충전시스템 측정 차량은 혼다 CRV 이다.
(1)Login fo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