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데이터통신 진단시 'GW, Gateway or Bridge' 이해하기
보통 DLC의 #6번이 CAN High 이고 #14번이 CAN Low선이다. 하지만, 여기에 연결하였다고 해서 전부 CAN High & Low에 연결되는것은 아니다. DLC(OBD2) 와 ECM등 모듈사이에 다리 역할을 하는 Gateway(GW) 혹 Bridge 가 있는경우가 있다. GW 역활은 보안강화 와 고속. 저속 다양한 통신망 연결 해주는것이다. 꼭 서울역과 같다. 공항철도, KTX, 광역버스 그리고 마을버스가 환승 하는것과 같다. 차량에 따라서 CAN High & Low에 직접 연결 될수도 있고 GW에 연결 될 수도 있다. 당연히 스코프 파형이 달라진다. 그래서 CAN High & Low 가 멀쩡해도 GW 에 접속되는경우 파형이 달라서 CAN 통신고장으로 오진할 가능성도 있다. 꼭 회로도를 먼저 확인해야 하는 이유이다.

DLC의 #6번과 #14번이 CAN High & Low 이다. 회로도를 보면 Diag_CAN 이라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6번과 #14번이 'GW, Gateway' 로 연결되어 있다. 즉, DME(ECM)등 DRIVE_CAN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런경우 CAN통신 진단을 위해서는, DME, AFA, BMC등 에서 CAN High & Low 선에 직접 스코프를 연결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래야 남의 다리 귺는일이 없어진다. 참고로, 포르쉐 카이엔 92A의 DLC구조이다.

같은 브랜드 (이 경우 포쉐) 차량이라도 모델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망이 달라진다. DLC의 #6번과 #14번이 BCM, IPC, ABS등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6번과 #14번에 스코프를 연결하면 전형적인 CAN High & Low 파형이 측정 될 것이다, 물론 정상 작동일 경우이다. 이런경우 DLC에서 CAN 통신 파형을 참고할 수 있다. 항상 회로도를 먼저 체크하는것이 중요하다.
DLC. Data Link Communication 인데 쉽게 OBD2 포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DLC에 연결되면 ECM처럼 진단기도 하나의 모듈로 인식된다. 따라서 만약 DLC(OBD2)에 연결한 진단기에 이상이 있는경우 (배터리등) 차량내 CAN통신망에 장애를 줄 수 있다. 드물지만 OBD2에 진단기만 연결하면 통신장애가 있는경우도 있을수 있다.
Gateway (GW) or Bridge. 초기 CAN 통신에는 모든 DLC의 표준 포트는 직접적으로 각 모듈에 연결되었다. 꼭 건물로 비교하면 정문만 통과하면 아무 사무실이나 아무 방이나 아무 집에 그냥 들어갈수 있었다. 그런데, OBD2 통신망을 통한 벤츠등 차량의 해킹사건이 큰 이슈가 되었고, CAN통신 보안을 강화하기위한 일련의 조치를 취하는데 Gateway 설치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리고 민감한 모듈작업시에는 별도록 제조사에 정비사 등록후에 인가를 받아서 해야하는 경우도 흔하게 되었다.
(1)Login fo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