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강하 테스팅시 사용하는 테스트라이트, 전압강하 구분이 될까?
전압 강하 테스팅을 해 본다. 정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테스트 라이트와 전구 를 이용해서 비슷하게 테스탱 해본다. 센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전압을 조정하면서 전압 강하 400mV, 900mV 될 때 전구 빛 밝기를 비교해본다. 누구는 구분 할 것이고 또 누군가는 구분이 힘들 수 있을 듯 하다. 전압 측정은 허당 이다. 항상 부하 걸리는 부하 전압 (Loaded voltage drop)을 해야 한다. 방법은 각자의 노하우이지만 정비사 숙련도에 따라서 달라지는 부하 전압강하 테스팅 방법은 초보자에게는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연료펌프, 시동모터 등 각종 전기. 전장 장치의 고장원인 중 하나가 바로 부하 전압강하 이다. 일반적인 테스터기로 측정시 멀쩡히 전압이 측정 되어도 실제 부하가 걸리면 뚝 떨어져 작동이 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흔하다. 실전에는 부하전압강하 전용측정 공구를 사용 하는것이 권장된다.

센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전압을 조정하면서 부하 전압강하 400mV, 900mV 될 때 전구 빛 밝기를 비교해본다. 누구는 구분 할 것이고 또 누군가는 구분이 힘들 수 있을 듯 하다. 11.8V 에서 전구 빛 밝기이다.

센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전압을 조정하면서 부하 전압강하 400mV 전구 빛 밝기를 비교해본다. 누구는 구분 할 것이고 또 누군가는 구분이 힘들 수 있을 듯 하다.

센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전압을 조정하면서 부하 전압강하 900mV 전구 빛 밝기를 비교해본다. 누구는 구분 할 것이고 또 누군가 는 구분이 힘들 수 있을 듯 하다.

이번에는 정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테스트 라이트 이다. 11.2V에서의 테스트 라이트 빛 밝기이다.

이번에는 정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테스트 라이트 이다. 12.0V에서의 테스트 라이트 빛 밝기이다. 이 정도의 밝기와 부하 걸릴 때 전압 강하 800mV 있을 때 차이를 구분 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작업자 피로도, 작업 환경 및 여러가지 변수도 작용할 것이다.

10.9V, 11.2V, 12.0V 3가지 전압상태, 전구 빛 밝기이다. 차이를 누구나 느낄수 있을까?

듀티제어 와 주파수제어 그리고 전압제어 해서 센서시뮬레이션 해 본다. 캠새프트 캠어드저스터 솔벨블 산소센서등 다양한 진단시 유용하다. 연장도 시간 있을때 정리해두면 현장에서 시간 절약이 된다.

아주 기본적인 스코프 기능도 있어 전원 있나 없나 등 점검이 가능하고 주파수 및 듀티제어 등 상태도 알 수 있다.




(1)Login fo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