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 & 실화발생시 실린더압축 압력 R/C 테스팅
실린더 압축압력을 체크하는 R/C테스트이다. R/C는 Relative Compression으로, 엔진 크랭킹을 통하여 각 실린더별 사용하는 전류를 측정하여 압축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실화나 부조가 있을때 필수적으로 체크해야하는 것이 바로 실린더의 기계적인 고장여부이다. 밸브, 캠새프트, 로커암, 피스톤, 인테이크 등 상태를 알 수 있다. 특히 엔진부조가 심한경우에는 꼭 엔진압축 부터 측정하는것이 실화. 부조 진단의 기본이다. 왜냐하면 엔진오버홀을 해야하는데 점화플러그 코일 교환은 의미가 없기때문이다. 그리고 R/C에세 이상이 있는경우 최종진단 하기전에 꼭 필스센서 파형 육안점검등 으로 재 확인해야한다.
실린더 압축압력을 대시하는 RC테스트이다. RC는 실린더별 상대적압축 (Relative Compression) 이다. 압축 측정결과 4개 실린더 모두다 매우 정상이다. 배기, 흡기, 실린더 등에서 고장증세가 전혀없다. 크랭킹 초기에 약 548A 를 소비하고, 안정화후에는 약 192A정도를 소비하고 있다. 시동모터의 솔레노이드 스위칭후 즉각적으로 548A까지 올라가서 시동능력이 좋게 판단된다. 베콤카 R/C 테스팅 차량은 약 24만키로 주행한 현대 NF쏘나타 2005년 2.0L 가솔린이다.
스타트모터의 솔레노이드 부분의 접촉상태(스위치)를 알 수 있는 파형이다. 시간을 2ms (0.002초)단위로 자세히 솔레노이드 스위칭 부분을 분석하는 파형이다. 자세히보면 4번정도의 접촉상태가 있었다. 그시간 (ΔX)는 약 3.694ms이다. 그리고 순간 548A까지 전류를 사용하여 시동모터를 돌리고 있다. 시동모터의 고장원인중 하나가 바로 솔레노이드 스위칭 부분인데 아직까지 상태가 좋은것으로 판단된다. 베콤카 R/C 테스팅 차량은 약 24만키로 주행한 현대 NF쏘나타 2005년 2.0L 가솔린이다.
실린더 압축압력 진단중, 솔레노이드 ΔX값이 약 21.18ms이다. 어떻게 보면 길고 또 짧은시간이다. 이 시간은 스타트모터의 솔레노이드가 스위칭한 시간이다. 솔레노이드에서 전기스위칭을 모터로 해주면 모터가 돌아간다. 이 역할을 시동모터 솔레노이드가 한다. 베콤카 R/C 테스팅 차량은 약 24만키로 주행한 현대 NF쏘나타 2005년 2.0L 가솔린이다.

R/C 압축 실제 측정시에는 배터리 마이너스 케이블에 Amp Clamp를 연결했다. 압축압력을 파악하기위한 RC 테스팅 환경으로 어떠한 차량이든 배터리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하여 엔진 압축압력을 파악할 수 있다. 베콤카 R/C 테스팅 차량은 약 24만키로 주행한 현대 NF쏘나타 2005년 2.0L 가솔린이다.

실린더압축 압력상태 를 파악하기위한 R/C 테스팅 (Relative Compression) 실제 환경이다. 오실로스코프는 Micsig VATO2004 이며 Amp Clamp는 Hantek CC650A 이다. 베콤카 R/C 테스팅 차량은 약 24만키로 주행한 현대 NF쏘나타 2005년 2.0L 가솔린이다.

스타트모터의 솔레노이드 부분의 접촉상태(스위치)를 알 수 있는 파형은 바로 이부분에서 나온다. 전기신호 파형분석 으로 기동모터 솔레느이드 분해없이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바로 오실로스코프 의 장점중하나이다.

스타트모터의 솔레노이드 부분의 접촉상태(스위치) 불량으로 정비하는 실제 작업과정이다.

혼다 시빅 1.8 차량의 스타트모터 고장으로 탈거한 상태이다. 바로 솔레노이드 스위칭 부분 접촉이 고장원인이다.
(2)Login fo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