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르노삼성 SM7 2.3L V6 P0303 실화진단 (점화2차파형, 점화코일. 플러그)
2006년 르노삼성 SM7 2.3L V6 P0303 실화진단 과정 기록이다. 결론적으로 교환한 점화코일 및 플러그 에 이슈가 있는 것으로 진단 된다. 추가로 하네스에도 이슈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엔진마운트는 덤으로 추가. 점화2차 파형분석을 보면 점화코일 및 점화플러그 부분에서 전형적인 코일이나 플러그 고장파형이다. 이번 진단 SM7 차량은 복합적인 이슈가 있어 쉬울듯 한 P0303 실화 진단이 의외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2006년 르노삼성 SM7 2.3L V6 P0303 실화진단 과정 기록, 점화2차 파형분석을 보면 점화코일 및 점화플러그 부분에서 전형적인 코일이나 플러그 고장파형이다.

2006년 르노삼성 SM7 2.3L V6 P0303 실화진단 과정 기록, 점화2차 파형분석을 위하여 오실로스코프 세팅후에 점화2차 파형을 프로브를 이용하여 파형을 측정한다. 점화파형에서 바로 고장이 점화코일. 점화플러그 점검 포인트가 확인된다.

2006년 르노삼성 SM7 2.3L V6 P0303 실화진단 과정 기록이다. 새로 교환한 점화코일 점화플러그 파형이 고장으로 측정되어, 점화코일 과 플러그를 육안점검 해 본다. 일단 상당히 느슨하게 장착되어있고 점화코일을 살펴보니 '중국' 이라고 한글로 적혀있고 KM601 이라고 적혀있다. 순정이나 OEM 점화코일이 아니다. 이런경우 시간문제이지 꼭 실화가 발생하면서 운 없으면 엔진쪽 데미지 줄 수 도 있다. 점화코일과 점화플러그는 매우 중요한 부품이니 꼭 순정이나 OEM을 사용하는것이 돈 아끼는 길이다.

2006년 르노삼성 SM7 2.3L V6 P0303 실화진단 과정 기록이다. 점화2차 파형을 측정한다. 점화파형이 모든것이 다 꼬여있는 상태로 측정된다. 전형적인 점화코일 점화플러그 고장인 경우이다. 점화코일 과 점화플러그 점검시 점화2차 파형측정은 꼭 아이들과 스냅샷 혹 스톨테스트 도 함께 한다. 그래야 인젝터등 상태까지 진단이 가능해진다. 아이들시의 파형만으로는 인젝터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표시가 나지 않을 수 있다.

2006년 르노삼성 SM7 2.3L V6 P0303 실화진단 과정 기록이다. 점화2차 파형을 측정한다.




(1)تسجيل الدخول للتعلي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