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센서2번 파형 & 촉매 효율저하 내시경 검사. 시빅 1.8L 사례
혼다 시빅 8세대 1.8L의 촉매 표면에 이물질이 확인된다. 아마도 카본 찌꺼기로 추정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약 2,000km전에 카본 제거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다행히 점화 플러그 파울링은 발견되지 않고 실린더 피스톤 상단등은 깨끗한 상태이다. 첨가제의 부작용도 생각해서 사용 하는 것이 권장된다. 실린더압력 센서 측정결과 배기행정 구간에서 압력이 좀 높게 측정 된다. 촉매 막힘이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 이다.

2009년 혼다 시빅 1.8L의 산소센서2번 파형이 촉매 효율저하 상태에 가까운 상태, 촉매 내시경 검사 과정이다. 촉매 표면에 이물질이 있다. 제거해 준다. 카본 찌꺼기가 떨어져 나오면서 고온 고압에 말라깽이가 되었지만 완전연소 되어 사라지지 않고 이물질로 배출되어 촉매 표면에 걸린 것 같다.

혼다 시빅 8세대 1.8L의 점화 플러그 파울링 현상은 전혀 없다. 다행이다. 처음에는 파울링 현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시경 검사 결과 엔진 블럭과 헤드 사이에 카본 상태가 확인되고, 밸브 뒤쪽 흡기 쪽으로는 많은 카본이 융해되는 과정임을 알 수 있는 상태도 관찰되었다.

촉매 표면에 흑 점 처럼 확인되고 약 4~5개 정도의 이물질이 확인된다. 무우 말라깽이 처럼 된 것이다. 제거해준다. 다행히 혼다 시빅 1.8의 경우 촉매 위치가 좋아서 내시경 검사 및 이물질 제거하기에 편리하다. 촉매 상태를 알 수 있는 산소센서2번 파형은 사실상 촉매 효율저하 상태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측정 되고 있다. 2000km정도 주행 후 추가 모니터링 한다.

혼다 시빅 8세대 1.8L 실린더압력 센서 측정결과 배기행정 구간에서 압력이 좀 높게 측정 된다. 촉매 막힘이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 이다. 보통은 배기밸브가 열릴때 외부 와 같은 압력이 측정된다.
혼다 시빅 8세대 1.8L 산소센서2번 파형이다. 꼭 산소센서1번 (Narrow band 경우) 처럼 완전한 Sine Wave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전형적인 촉매 효율저하 상태 를 의미한다. 하지만 아직 P0420 촉매 효율저하 고장코드는 없는 상태이다. 촉매 효율저하 완전 초기 증상이다.
(1)تسجيل الدخول للتعليق